아동발달    

 

 

 

아동발달이론

 

연령별아동발달


 

 

 

 

 

마음의 발달과 뇌

 

뇌의 언어영역


     아이오와 대학의 행동신경학자인 안토니오 다마시오 박사는 뇌가 언어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연구해 왔다. 그는 뇌일혈을 당한 환자의 언어능력을 관찰하고 있다. 다마시오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실어증의 중요한 특징은 목표에서 빗나가는 단어, 즉 관련은 있으나 정확하지 않은 단어를 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장'(president)을 '기자'(pressman)라고 표현한다. 이는 영어에서 '사장'(president)과 '사람'(man)의 조합이다. 실어증 환자들은 종종 문법 구조를 처리하는 데 애를 먹으며, 문장이 수동태인 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예를 들면 '그 소년은 그 소녀에게 떠밀렸다.'와 같은 경우이다. "

겉으로 보아 실어증에 걸렸다가 회복중인 환자들은 언어를 구사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 는 것 같다. 그러나 이 환자들에게 '고양이가 보고 있는 새는 배가 고팠다'와 같은 문장을 들려 준 뒤 고양이가 새장 안의 새를 보고 있는 그림을 보여주면 문제가 생긴다.

 "누가 배 고프냐?"고 물으면 대답을 못하는 것이다. 그들은 그림에서 단서를 찾으려 하며, 경험에 근거한 가정들을 세운다. 그리고 그들의 경험은 대개 고양이가 새를 먹으며 그 반대인 경우는 드물다는 것을 알려 준다. 다마시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런 환자들은 문장 내에서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했는가를 구별하지 못한다. 그들은 고양이를 포함한 문장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며, 그림 속의 고양이가 배고픈 것으로 생각하고 고양이를 가리키려 할 것이다. 실어증 환자들은 새와 배고픔을 연결시키지 못한다. 이 환자들이 수행한 과제는 누구라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 정상인이라면 고양이가 들어 있는 문장 때문에 혼동하지는 않는다."

다마시오는 이렇게 덧붙인다.

"이런 환자들의 수행으로부터 환자들의 마음 상태에 대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그런 문장을 들으면 어리둥절해 한다. 간단한 문장을 따라 말하는 것도 역시 실패한다. '오케스트라가 연주하고 청중이 박수친다'와 같은 문장을 따라 말하라고 하면, 환자는 누가 연주하고 누가 박수치는 지를 아주 잘 알고 있으면서도 그대로 따라 말하지 못한다."

한 실어증 환자는 자신의 장애를 가리켜 단어들이 '죽이 된다'고 다마시오에게 표현했다. 비록 그는 그 의미(누가 박수를 쳤는가?)를 끌어 낼 수는 있었지만 즉각적으로 따라 말하는 데 필요한 단어들의 심상이 그냥 사라져 버렸다. 더욱이 그 단어들을 다시 생각해 내기 위해서 그가 할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실어증에 걸렸다가 완전히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어떤 것들은 영구히 상실된다. 그러한 상실은 아주 미묘하여 오직 정교한 검사로만 발견할 수 있다. 게다가 회복은 대부분 자발적인 과정이다. 회복은 손상당하지 않은 뇌의 영역들이 손상된 영역이 하던 일을 인수하여 손상을 보충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이다. 뇌는 병렬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 영역이 손상당하면 때로는 덜 효율적일 때도 있지만 뇌가 똑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끔 다른 보조체계에 의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실어증 환자의 경우 자발적으로 하는 말은 거의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그러나 회복된 환자라도 "소년에게서 춤추러 가자고 요청받은 소녀는 그럴 수 없다고 말했다." 와 같은 문장을 처리하라고 하면 여전히 당황하고 만다. 다마시오는 말한다.

"뇌에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 아주 광범위한 회로망이 있다. 그것들은 모두 조금씩 다른 역할들을 수행한다. 언어가 생겨난다고 잘라 말할 수 있는 단일한 영역, 즉 어휘나 통사와 같은 것을 관장하는 대략적인 언어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단일한 영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뇌의 한 부분에서는 문법을 처리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단어들을 처리하여 ,그것들이 문장을 만들기 위하여 어떤 방식으로든 함께 작용한다는 식으로 생각한다면 심각한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뇌에서 일어나는 일의 방식은 전혀 그렇지가 않다. 언어는 인간의 마음에서 매우 중추적인 것이어서, 그것의 핵심 기능이 뇌의 어느 한 영역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뇌 역시 어떤 특수한 하나의 언어만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지는 않다"

다마시오의 환자에게 "고양이가 보고 있는 새는 배가 고프다"와 같은 문장을 제시했을 때 누가 배고픈지를 말할 수 없는데, 그것은 환자들이 의미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그들이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까닭은 그들이 문장 내의 단어 뜻을 이해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통사를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전적인 브로카 실어증을 겪고 있는 환자를 살펴보자. 이들 환자의 언어 발성은 빈약하고 전보문과 같다. 이 환자의 경우엔 "버터....빵"이 "빵에 버터를 바르게 버터 좀 건네줘"를 대신 할 수밖에 없다. 그의 이해능력은 이 예가 제시하는 것보다 는 조금 더 나을 수도 있으나 "오른손을 들어 왼쪽 귀를 만져라"처럼 두 문장으로 구성된 명령문 앞에서 환자는 쉽게 좌절한다. '누가 무엇을 누구에게 한다'는 식의 문장들을 접했을 때 겪는 어려움이 이 환자들이 겪는 가장 두드러진 어려움이다. 
 

아동발달과뇌
아동발달과 뇌

  뇌란 무엇인가?

  마음과 신경계

  마음의 뼈대 중추신경계

  신경계의 기본세포 뉴런

    세포들의 정보교환

  수상돌기

  정보전달과정

  뇌의 기능을 어떻게 알았을까?

    대뇌, 뇌간, 소뇌의 영역

  대뇌피질과 영역

    대뇌엽

    12쌍의 뇌신경

    변연계

    기억과 해마

    브로카와 베르니케의 언어영역

    읽기연구와 PET 기법

    뇌의 언어영역

    통사는 실재하는가?

    언어와 좌반구

    평형감감과 뇌

    미각과 후각

    스트레스와 노화

    언어연구와 뇌유발전위

    화를 자주내는 인간은 동물과 같다

    세로토닌

    뇌간

    정보전달속도-100미터를 1초에 완주

    도파민과 마음